평상시에 잘 사용하는 은행 계좌가 있었습니다. 임대료를 받는 법인 계좌였기 때문에 해당 계좌에서 다른 사람 계좌로 이체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임대기간이 만료되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어야 하는 날이 왔습니다. 그래서 은행 어플을 사용하여 계좌를 이체하려고 하였는데 계좌 이체가 안 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를 하여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해결할 수 없었고 다음 날 바로 은행에 방문하였습니다.
계좌이체 안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각 계좌마다 계좌이체가 안 되는 경우가 모두 다르겠지만 제 계좌의 이체가 안 되는 이유는 이것이었습니다. 제가 사용한 계좌의 은행은 국민은행이었고 개인 명의의 계좌가 아닌 사업자 명의의 계좌였습니다.
이전에 만들어 놓은 사업자 명의의 계좌가 있었는데 해당 계좌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은행에 상담을 받을 때 알아보니 결국 이전에 만들어놓은 사업자 명의의 계좌가 휴면계좌로 등록되어 있어 다른 계좌까지 이체가 불가능하도록 되어있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해결했나요?
은행에 방문하지않고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를 하여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 직원들마다 업무 능력이 달라서인지 모르겠지만 고객 센 테에서는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 빨리 임대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돌려주어야 했기 때문에 저는 은행에 방문하였습니다.
은행에 방문하였을 때 은행 직원들도 이런 경우가 흔하지 않은지 한참을 헤매었습니다. 결국 한개의 휴면계좌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휴면계좌를 해제하면서 다른 계좌 또한 이체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은행에 방문하면 좋은 것은 내 명의의 신분증과 은행 어플이 연동되어있는 스마트폰만 은행 직원에게 건네주면 은행 직원이 알아서 작업을 해줍니다. 고객센터에 백날 전화해도 결국 내가 고객센터 상담사의 말을 듣고 진행을 해야 하는데 혼자 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한번 어떻게 하는지를 배우면 상관없지만 처음 일을 진행하시는 경우에는 속 썩힐바에야 은행에 직접 방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쨌든 은행에 방문하여 왜 계좌이체가 안되는 것인지 명확히 확인하였고 현재 이체도 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