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아기 다래끼가 전염이 되는지 치료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저희 아기는 3살 아기로 실제로 다래끼가 걸렸습니다. 다래끼가 난 아기를 돌보면서 경험한 실제 후기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아기 다래끼 전염되나요?
다래끼는 나이와 관계없이 전염이 됩니다. 다래끼가 났을 경우 전염이 되는 질병이기 때문에 어린이집 등원이 불가합니다.
아기 다래끼에 전염되어 저까지 다래끼가 난 적은 없지만 다래끼는 전염되는 질병이라는 것을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아기 다래끼 증상
다래끼가 심할 경우에는 눈을 뜨기가 어려울 정도로 눈이 붓고 눈 주위가 빨개지며 눈곱이 많이 나옵니다.
다래끼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눈두덩이에 좁쌀 크기의 다래끼가 난 경우입니다.
아기 다래끼 치료방법은 무엇인가요?
병원 가서 상담받기
아기에게 다래끼가 난 것을 확인하였다면 가장 먼저 안과로 가야 합니다. 동네 병원이라도 진료를 잘 보는 병원을 가야 합니다. 진료를 제대로 보지 않고 대충 약이나 처방하는 병원은 가지 않길 바랍니다.
아기가 다래끼가 난 횟수가 2번인데, 처음 다래끼가 걸렸을 때는 아기가 눈을 뜰 수 없을 정도였고 두 번째는 눈 두 덩이에 좁쌀 여드름이 보이는 정도였습니다.
이와 같이 같은 다래끼라도 증상이 다 다르기 때문에 내 증상에 따라 병원에서 어떻게 상담을 해주는지 잘 경청해야 합니다.
* 잠깐, 동네병원 잘 찾는 방법입니다.
동네 병원 잘 찾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아래 글을 다리 통증으로 인해 동네 병원을 다녀온 경험을 후기로 작성한 글입니다.
동네 병원 중 대충 진료를 보고 약이나 처방하는 곳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한 동네 병원을 피하고 좋은 동네병원을 찾는 방법이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리 마비된 것과 같은 통증 원인 병원 다녀온 후기
다리가 마비가 된 것처럼 아무 통증이 느껴지지 않은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다리를 다친 적이 없는데도 말입니다. 오늘은 다리 시림, 마비가 된 것처럼 아무 통증이 느껴지지 않아 병원에 다녀
111.ceh8141.com
다래끼 증상이 심하면 다래끼를 바로 짜야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먼저 아기가 처음에 다래끼를 걸렸을 때 그 증상이 너무 심했습니다. 눈곱은 계속 나오고 눈이 너무 부어서 눈을 뜨기가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이렇게 심할 경우 다래끼를 짜주어야 하냐고 의사 선생님께 물어보았으나, 당장 그럴 필요는 없고 처방한 약을 먼저 먹어보며 경과를 지켜보자고 하셨습니다.
아기에게 처방한 약을 먹인 결과 증상이 많이 호전되어 아기가 다래끼를 짜는 일은 없었습니다.
아기 다래끼 약은 무엇인가요?
아기 다래끼 약은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약이어만 합니다. 소염제, 알레르기 방지 가루약 등의 먹는 약을 먹고 안약과 눈에 바르는 약이 있습니다.
먹는 약, 안약, 바르는 약을 약국에서 알려준 횟수대로 잘 지켜주면 됩니다.
아기 다래끼 잘 낫나요?
오히려 처음에 아기가 심한 증상의 다래끼를 걸렸을 때는 약을 잘 먹고 빠르게 호전되었습니다. 약 일주일 뒤에 괜찮아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첫 번째에 비해 증상이 다소 약한 두 번째에는 다래끼가 쉽게 없어지지 않았습니다.
병원에 두 번 방문하여 약을 다시 처방받았고 경과를 지켜보자는 의사 선생님의 말씀이었습니다.
따라서 아기 다래끼가 잘 낫는다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아기에게 약을 잘 먹이면서 하루하루 경과를 잘 지켜보아야 합니다.